git 3

[git] 2. GUI 환경에서 txt 파일 버전관리 해보기 - sourcetree

📌 소스트리로 버전 관리 해보기 이번에는 CLI 환경이 아닌 직접 커밋, 푸쉬의 상태를 눈으로 더 쉽게 확인할 수 있고, 클릭을 통해서 파일의 버전을 관리해볼 수 있는 소스트리를 이용해서 버전관리를 해보자 소스트리는 Git 사용을 더욱 쉽게 도와주는 GUI 프로그램이다. https://minjyuus.tistory.com/9 [Sourcetree] Mac 소스트리 설치 및 사용법 소스트리는 Git을 관리하기 위한 GUI 프로그램이다. 즉, CLI처럼 명령어로 깃에 코드를 커밋, 수정,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클릭'으로 깃 사용이 가능하다. 아직 명령어가 미숙한 나는 프로젝트를 minjyuus.tistory.com https://es1015.tistory.com/408 [MAC] 소스트리 Github 간단..

git 2022.11.06

[git] 1. CLI 환경에서 txt 파일 버전관리 해보기 - push, pull

1. Push 만들어 뒀던 README.txt 를 이제 원격저장소 Github 에 푸쉬해보자 먼저 Github 에 원격저장소를 하나 생성해보자 Your repositories 로 이동해서 new 를 클릭. Add a README file 을 체크하지 않고 새로운 레파지토리를 하나 만들어 준다. 원격 저장소의 주소를 복사해준다. git remote add origin 명령어를 통해서 만들어 뒀던 원격저장소의 주소를 복사한다. remote add origin 명령어는 로컬저장소에 원격저장소의 주소를 알려준다 git init 을 통해서 생성했던 [.git] 폴더에 원격저장소의 주소가 저장되는 것이다. git remote -v 를 통해서 [.git]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원격저장소의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이..

git 2022.11.06

[git] 1. CLI 환경에서 txt 파일 버전관리 해보기 - checkout

🧐 버전 관리? command + z 키를 활용해서 한글이나, 블로그 글을 쓰다가 이전에 작성한 내용으로 되돌려본 경험들이 있을 것이다. 이전에 작성한 내용이 하나의 버전 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버전 관리는 하나의 버전에 있는 id 를 통해서 여러가지 버전에 접근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git 을 사용하면 버전 관리를 정말 쉽게 경험해 볼 수 있다. git이 설치되어 있다면 터미널에서 git --version 을 통해서 현재 git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 1. git init 터미널 명령어로 desktop > commit_test 경로에 있는 README.txt 에 "hi my name is woong!" 내용을 입력해준다 git init 명령어를 통해서 README.txt 가 있는 폴더에 [.gi..

git 2022.11.06